카테고리 없음

장애인 고용률 34.5%, 전년 대비 0.5%p 상승...'단순노무종사자 비율이 현저히 높아'

느린걸음큰발 2025. 4. 22. 13:57
반응형

- 2024년 하반기 장애인경제활동실태조사 결과 발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원장 조윤경) 2024년 하반기 장애인경제활동실태조사 결과를 4 18() 발표했다. 이 조사는 장애인 고용률, 실업률 등 장애인 고용정책 수립에 필요한 노동시장 필수자료를 생산하기 위해 연 2(상반기 5월 기준, 하반기 10월 기준) 실시하는 국가승인통계(383004).

월드장애인사랑뉴스 DB -이미지무단전재 금지

2024년 하반기 기준 15세 이상 장애인 고용률은 34.5%, 실업률은 4.0%, 경제활동참가율은 35.9%,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5%p, 0.1%p, 0.5%p 상승하였다. 15~64세의 경우, 장애인 고용률은 0.9%p 상승한 49.4%, 실업률은 전년과 동일한 3.9%, 경제활동참가율은 1.0%p 상승한 51.4%로 나타났다.

15세 이상 장애인 취업자는 88 8천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7천명 증가한 가운데, 이 중 임금근로자는 2 7천명 증가하고 비임금근로자는 2만명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상용근로자가 3만명 증가한 반면, 자영업자가 1 1천명 감소하여 대조를 보였다.

장애인 취업자는 주로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4만명, 15.8%), ‘제조업’(12 1천명, 13.7%),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8 7천명, 9.8%) 등의 산업에 종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별로는 단순노무 종사자’(29 9천명, 33.7%), ‘사무 종사자’(15 2천명, 17.0%),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9 6천명, 10.9%) 등의 순으로 많았다.

미취업자 중 실업자는 3 7천명, 비경제활동인구는 164 9천명이며, 비경제활동인구 중 주된 활동상태가 쉬었음인 경우는 52만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3 9천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향후 장애인 고용정책 수립 및 고용서비스 개선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자세한 결과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홈페이지(https://www.kead.or.kr)와 고용개발원 홈페이지(https://edi.kead.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안호정기자 (월드장애인사랑뉴스)

↓↓↓  본기사는 하단 링크에서 확인가능  ↓↓↓

https://www.youcan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413

 

장애인 고용률 34.5%, 전년 대비 0.5%p 상승...'단순노무종사자 비율이 현저히 높아'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원장 조윤경)은 「2024년 하반기 장애인경제활동실태조사」 결과를 4월 18일(금) 발표했다. 이 조사는 장애인 고용률, 실업률 등 장애인 고용정책 수립에 필요한

www.youcandonews.com

 

 

참 고
2024년 하반기 장애인경제활동실태조사 주요 결과

1. 장애인 경제활동상태 현황

(단위: , %, %p)

 

구 분 15세 이상
인구
경제활동인구 비경제
활동인구
경활률 실업률 고용률
취업자 실업자
2023 상반기 2,589,047 968,348 935,261 33,087 1,620,699 37.4 3.4 36.1
하반기 2,589,047 916,582 880,929 35,653 1,672,465 35.4 3.9 34.0
2024 상반기 2,574,398 918,128 871,339 46,789 1,656,270 35.7 5.1 33.8
하반기 2,574,398 925,090 888,214 36,876 1,649,308 35.9 4.0 34.5
증감(하반기) -14,649 +8,508 +7,285 +1,223 - 23,157 +0.5 +0.1 +0.5

 1) 경활률(경제활동참가율) = (경제활동인구/15세 이상 인구)*100

2) 실업률 = (실업자 수/경제활동인구)*100 3) 고용률 = (취업자 수/15세 이상 인구)*100

4) 증감은 2023년 하반기 대비 증감을 말함

 

(단위: , %, %p)

 

구 분 15~64
인구
경제활동인구 비경제
활동인구
경활률 실업률 고용률
취업자 실업자
2023 상반기 1,190,872 617,201 592,743 24,459 573,671 51.8 4.0 49.8
하반기 1,190,946 600,770 577,241 23,529 590,176 50.4 3.9 48.5
2024 상반기 1,146,781 580,547 554,985 25,562 566,234 50.6 4.4 48.4
하반기 1,133,399 582,770 559,955 22,815 550,629 51.4 3.9 49.4
증감(하반기) -7,547 -18,000 -17,286 - 714 - 39,547 +1.0 0.0 +0.9

 1) 경활률(경제활동참가율) = (경제활동인구/15~64세 인구)*100

2) 실업률 = (실업자 수/경제활동인구)*100 3) 고용률 = (취업자 수/15~64세 인구)*100

4) 증감은 2023년 하반기 대비 증감을 말함

 

 

2. 장애인 취업자의 종사상 지위

(단위: )

 

구 분 임금근로자 비임금근로자 합계
상용
근로자
임시
근로자
일용
근로자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무급가족
종사자
2023 상반기 666,203 346,277 230,466 89,461 269,057 50,180 199,662 19,215 935,261
하반기 632,782 329,215 213,653 89,914 248,147 48,670 175,753 23,724 880,929
2024 상반기 634,070 342,068 221,398 70,604 237,270 43,143 172,563 21,564 871,339
하반기 660,205 359,433 238,288 62,484 228,009 44,009 169,905 14,096 888,214
증감(하반기) +27,423 +30,218 +24,635 -27,430 -20,138 -4,661 -5,848 -9,628 +7,285

: 증감은 2023년 하반기 대비 증감을 말함

 

 

3. 장애인 취업자의 산업

(단위: , %)

 

구 분 인원 비율 증감(인원)
농업, 임업, 어업 및 광업 79,118 8.9 -9,153
제조업 121,722 13.7 +1,481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636 0.1 -3,111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재생 5,389 0.6 -2,121
건설업 60,741 6.8 -8,092
도매 및 소매업 72,220 8.1 -8,401
운수 및 창고업 50,350 5.7 -3,411
숙박 및 음식점업 47,654 5.4 -998
정보통신업 11,140 1.3 -5,044
금융 및 보험업 9,882 1.1 -3,914
부동산업 29,673 3.3 -7,013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20,825 2.3 +2,314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67,477 7.6 +17,619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87,078 9.8 +5,146
교육 서비스업 35,565 4.0 +2,904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140,080 15.8 +28,203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11,988 1.3 -2,524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34,765 3.9 +5,282
기타 및 모름/응답거절 1,910 0.2 -1,881
전 체 888,214 100.0 +7,285

: 증감(인원) 2023년 하반기 대비 증감을 말함

 

4. 장애인 취업자의 직업

(단위: , %)

 

구 분 인원
인원 비율 증감(인원)
관리자 5,863 0.7 +844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77,164 8.7 -12,695
사무 종사자 150,807 17.0 +31,105
서비스 종사자 63,754 7.2 -9,732
판매 종사자 48,441 5.5 -12,589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77,374 8.7 -5,796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67,917 7.6 +1,922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96,423 10.9 -10,615
단순노무 종사자 298,989 33.7 +25,238
기타 및 모름/응답거절 1,483 0.2 -398
전 체 888,214 100.0 +7,285

: 증감(인원) 2023년 하반기 대비 증감을 말함

 

 

 

반응형